"경단녀의 잠재력은 대단해요. 그걸 이끌어내는 게 조직의 역할입니다." 이재은(46)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이하 서여주) 대표가 지난 5년간 깨달은 가치다. 서여주는 경단녀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설립한 기관이다. 이곳을 거쳐간 경단녀들은 대부분 경력단절 이전의 역량을 회복했다. 경단녀가 위축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하는 시스템을 갖춘 덕분이다. 5년 임기를 마무리하는 이 대표를 통해 서여주가 일궈온 성과를 짚어봤다. 이재은 서여주 대표는 경단녀들에겐 뛰어난 인재로 거듭날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했다.[사진|천막사진관] 이재은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이하 서여주) 초대 대표. 여성지 기자, 교육공학 박사, 겸임교수, 커리어 교육업체 창업자 등 화려한 커리어를 갖고 있는 그 역시 '경력단절'이란 벽 앞에선 좌절했다. 재취업의 문이 바늘구멍만큼 좁은 것도 문제였지만, 경력단절 이전의 능력을 회복하는 건 또다른 난제였다.사회도, 조직도, 다시 돌아온 그에게 시간과 여유를 충분히 주지 않았다. 2021년 이 대표가 서여주의 초대 CEO에 도전했던 이유다. 그후 5년, 그는 어떤 답을 찾아냈을까.[※참고: 서여주는 경단녀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설립한 기관이다.]# 경력단절 vs 경력유보 서여주 대표를 맡은 후 가장 많이 달라진 건 무엇인가요? "경단녀를 바라보는 생각이 좀 더 단단해졌어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겠어요? "경단녀의 잠재력은 어찌 보면 대단해요. 지금까지 저평가돼 왔을 뿐이죠. 조직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경단녀가 '뛰어난 인력'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걸 새삼 확인했어요." 경단녀를 채용하는 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거군요. "맞아요. 이는 경단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맞닿아 있어요." 새로운 시각이 뭔가요?"경단녀의 경력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유보된' 것이란 시각이죠. 가령, 육아에 전념한 기간이 5년이라면, 그 5년은 단절이 아니라 '유보의 기간'이란 얘기입니다."경력단절과 경력유보. 조금은 구분하기 힘든 용어다. 쉽게 풀어보자. 경력단절은 '일의 끊김'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퇴직 후 육아만 했으니 이전의 경력은 '끊긴' 것이란 관점이다. 반면, 경력유보는 육아의 기간을 끊김이 아니라 '잠시 멈춤'이라고 인식한 개념이다. 최근 지자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경력보유여성'과 결은 비슷하지만, 좀 더 보수적이다(시사저널=정윤경 기자·이강산 인턴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나 윤석열 좋아했어. 임기도 다 못 채우고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니까 짠하기도 해. 그런데 어떡하겠어. 헌법재판소가 파면했잖아. 그러면 좀 받아들이고 화합할 줄도 알아야지. 나라가 얼마나 어려운데. 국민들이 더는 분열하면 안 돼. 화합해서 나라 발전을 생각해야지"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옮긴 11일, 사저 앞에서 만난 김아무개씨(67)가 한 말이다. 사저 인근 주민인 김씨는 '연일 이어지는 시위 때문에 불편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내가 시끄러운 건 괜찮다"면서 "같은 대한민국 사람끼리 갈라지는 게 문제"라고 했다.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9분 관저 정문을 통과해 21분 만인 오후 5시30분 서초동 사저에 도착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이다. 관저와 사저 앞은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과 탄핵 찬성 세력의 집회가 각각 열렸지만 이를 바라보는 대다수 시민들은 "더 이상 분열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조심스레 속내를 털어놨다. 정치적 성향을 떠나 헌재의 판결을 받아들이고 화합의 길로 나아가자는 뜻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월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기 앞서 정문 앞에서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자라고 밝힌 정은혜씨(48)도 국민 통합에는 이견이 없었다. 정씨는 "솔직히 관저 앞에서 울고불고하는 게 이해는 잘 안된다"면서도 "오죽 좋아하면 그러나 싶다"며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를 이해한다고 했다. 그는 "분열이 좋은 사람이 대한민국에 어디 있겠느냐"며 "정치인들이 못나서 반으로 갈라진 것이지 진작 잘했으면 이렇게까지는 안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2030 세대의 생각도 비슷했다. 대학생 김아무개씨(22)는 "솔직히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서도 "각자 시위는 할 수 있지만폭력적인 방향으로 흘러서 누군가가 다쳐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아무개씨(32)는 "이 정도로 서로를 향해 화를 내고 싸운 적이 있었나 싶다"면서 "정치에 관심을 갖는 건 좋지만 이런 식으로 '과몰입'하는 건 본인한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