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정윤경 기자·이강산 인턴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나 윤석열 좋아했어. 임기도 다 못 채우고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니까 짠하기도 해. 그런데 어떡하겠어. 헌법재판소가 파면했잖아. 그러면 좀 받아들이고 화합할 줄도 알아야지. 나라가 얼마나 어려운데. 국민들이 더는 분열하면 안 돼. 화합해서 나라 발전을 생각해야지"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옮긴 11일, 사저 앞에서 만난 김아무개씨(67)가 한 말이다. 사저 인근 주민인 김씨는 '연일 이어지는 시위 때문에 불편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내가 시끄러운 건 괜찮다"면서 "같은 대한민국 사람끼리 갈라지는 게 문제"라고 했다.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9분 관저 정문을 통과해 21분 만인 오후 5시30분 서초동 사저에 도착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이다. 관저와 사저 앞은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과 탄핵 찬성 세력의 집회가 각각 열렸지만 이를 바라보는 대다수 시민들은 "더 이상 분열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조심스레 속내를 털어놨다. 정치적 성향을 떠나 헌재의 판결을 받아들이고 화합의 길로 나아가자는 뜻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월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기 앞서 정문 앞에서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자라고 밝힌 정은혜씨(48)도 국민 통합에는 이견이 없었다. 정씨는 "솔직히 관저 앞에서 울고불고하는 게 이해는 잘 안된다"면서도 "오죽 좋아하면 그러나 싶다"며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를 이해한다고 했다. 그는 "분열이 좋은 사람이 대한민국에 어디 있겠느냐"며 "정치인들이 못나서 반으로 갈라진 것이지 진작 잘했으면 이렇게까지는 안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2030 세대의 생각도 비슷했다. 대학생 김아무개씨(22)는 "솔직히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서도 "각자 시위는 할 수 있지만폭력적인 방향으로 흘러서 누군가가 다쳐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아무개씨(32)는 "이 정도로 서로를 향해 화를 내고 싸운 적이 있었나 싶 여의도 증권가. 오승현 기자 [서울경제]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이후 주주 환원이 강조되는 가운데 한때 고배당 대표 주자로 꼽혔던 에쓰오일(S-Oil(010950))·LG화학(051910)·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005490)) 등 주요 대기업들이 오히려 2년 연속 배당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밸류업 공시에 참여해 주주 환원 의지를 보이고도 배당을 줄일 만큼 경영 여건이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결산 기준으로 국내 유가증권·코스닥 전체 상장사 2622개사 가운데 2023년과 2024년 연속으로 배당을 줄인 기업은 157개사(6.0%), 배당을 아예 하지 않은 기업은 1413개사(53.9%)로 집계됐다. 배당을 줄인 기업 비중은 코스피(8.6%)가 코스닥(4.7%)보다 높았고, 배당을 하지 않은 기업 비중은 코스닥(65.1%)이 코스피(30.3%)보다 높았다. 특히 코스피 상장사 15곳은 밸류업 공시에 참여하고도 배당을 줄였다.지난해부터 주주 환원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자사주 매입·소각과 함께 배당 지급은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철강·석유화학·2차전지 등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거나 업황이 부진한 산업을 중심으로 배당이 감소한 셈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배당액은 48조 35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주요 기업의 배당 감소를 눈여겨봐야 하는 건 배당 정책의 경직성 때문이다. 배당은 한 번 늘리면 투자자 기대가 높아지기 때문에 다시 줄이기 어렵다. 배당을 줄이게 되면 회사 경영이 어려워졌다는 신호로 인식되므로 통상적으로 이익이 줄어도 배당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미국에서는 25년이나 50년 동안 꾸준히 배당금을 늘린 기업을 ‘배당 귀족’ 또는 ‘배당 황제’로 분류해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이 같은 우려에도 일부 상장사들이 배당을 줄인 것은 실적 부진 영향이 크다. 적극적인 배당 정책을 추진해왔던 LG화학은 현금 배당 총액이 2022년 7831억 원에서 2024년 787억 원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실적 부진과 현금 흐름 악화로 순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지난 10년 평균 배당 성향이 30%를 넘었으나 주요 사업 투자를 위해 20%까지 낮췄다. 투자 회수가 이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