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급이대를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10 19:56 조회6회 댓글0건

본문

먹이급이대를 먹이급이대를 이용하는 산양 모습. ⓒ환경부 정부는 지난겨울 산양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추진한 대책이 효과를 거뒀다고 10일 밝혔다.환경부와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10월 ‘이상 기후로 인한 폭설 등 자연재해 발생 대비 산양 보호 강화 대책’ 추진 결과 산양 폐사 신고 개체수가 평년 수준(31마리)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두 기관은 겨울철 먹이 부족으로 인한 산양의 탈진 등을 예방하기 위해 총 80곳에 먹이 급이대를 설치했다. 또한 폭설 때 쉬어갈 수 있는 쉼터 22곳을 운영해 뽕잎, 무기물(미네랄 블록) 등 약 2만2000kg을 공급하는 등 산양 자생력 향상을 도모했다.환경부와 국가유산청은 먹이 급이대를 설치할 때 관찰카메라를 달아 산양 이용 현황을 파악했다.관찰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강원도 인제·고성·속초권역 먹이 급이대 15곳 이용 횟수는 약 520회에 달했다. 경북 울진·삼척권역 먹이 급이대 30곳에서는 약 1200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보다 야간 시간대(19시 이후)에 주로 이용했다.구조가 필요한 산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순찰도 대폭 강화했다. 설악산국립공원이 위치한 인제·고성·속초권역에서는 특별순찰대를 편성해 한 달 평균 160회를 순찰했다. 다른 권역에서도 한 달에 평균 70회 정도 순찰했다.산양 찻길 사고 예방이나 탈진 개체 발견 신고 독려 등을 위한 현수막을 132곳에 설치했다. 도로에 문자 전광판으로 안내해 지역 주민 산양 보호를 위한 이해와 협조를 유도했다.이러한 노력 결과 해당 기간 산양 폐사 신고 개체수는 31마리로 예년 수준으로 회복했다. 참고로 2023년 겨울에는 이례적인 폭설로 폐사한 산양 수가 785마리에 달했다.한편,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울타리 44곳을 부분 개방해 산양 등 야생동물 이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올해 하반기에는 ASF 차단 울타리로 인한 생태계 단절, 방역 효과 등 편익을 비롯해 주민 불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효율적인 울타리 운영·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민관 협력 덕분에 지난겨울 산양 보호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며 “폭설 등 기후변화로 인한 산양 [예카테린부르크(러시아)=AP/뉴시스]2024년 8월15일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의 법정에서 유리 케이지에 앉아 있는 러시아계 미국 여성 크세니아 카렐리나의 모습. 그녀는 10일 미국과 러시아 간 죄수 교환으로 석방됐다고 BBC가 보도했다. 2025.04.10. 먹이급이대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