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영등포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05 21:03 조회4회 댓글0건

본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KBC 광주방송 서울광역방송센터가 위치한 '파크원'의 도로명 주소입니다. 정치권 돌아가는 얘기, 세상 돌아가는 얘기, 이에 대한 느낌과 단상을 진솔하고 가감 없이 전하고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자 주> ◇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王'의 귀환은 없어 ▲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을 선고합니다. 탄핵 사건이므로 선고시각을 확인하겠습니다. 지금 시각은 오전 11시 22분입니다.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이것으로 선고를 마칩니다.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이 파면됐습니다. 2024년 12월 3일 난데없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123일만입니다. 12월 3일 10시 30분 비상계엄을 선포해서 十二월(王), 三일 十시(王), 三十분(王), 이른바 무속 '왕왕왕(王王王)' 논란이 회자되기도 했는데. '12월 3일' 계엄 선포 뒤 '123'일만의 파면, 뭔가 묘한 느낌도 듭니다. 아무튼, 2022년 5월 10일 대통령 취임부터 따지면 1,060일 만의 '파면'입니다. 임기를 절반가량밖에 채우지 못했다는 점에서 짧다면 짧고, 35개월, 길다면 긴 시간입니다.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만세!! 대한민국 전역에선 짜릿한 환호성과 함성이 터져 나왔고, 탄핵 반대쪽에선 탄식과 단말마의 비명이 터졌습니다.1812년 러시아를 쳐들었다가 대패한 나폴레옹이 엘바섬에 유배되었다가 탈출했을 때 당시 프랑스 최대 일간지 '르 모니퇴르'가 <코르시카 괴물, 후안 곶 상륙>이라고 나폴레옹을 '괴물'이라고 제목을 뽑아 지금도 회자가 되고 있는데. 2025년 봄, 대한민국에서 '괴물'의 귀환은 없었습니다. ◇ 호소형 계엄, 계몽령은 없어..시민 저항, 尹 중과부적, 계엄 해제 못 막아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환경단체와 문화단체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환경단체는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문화단체는 체제전환을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4일 성명을 내 "윤석열 정권과 그 폭정을 가능케 했던 구조와 세력을 철저히 청산해야 한다"며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았다"고 이번 헌재 결정의 의의를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겨울을 밝혔던 촛불과 응원봉의 빛무리가 꿈꾸었던 세상"은 "자연과 동물과 공존하는 생명의 나라였고 전쟁도 재난도 없는 평화의 나라였다"며 "그러한 생명과 평화의 나라로 나아가야만이 윤석열로 표상되는 위기와 폭력의 시대를 완전히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은 차기 정부가 기후대응을 위해 큰 숙제를 안았음을 강조했다. 기후솔루션은 "2025~2030년은 탄소 중립 달성의 가늠자라 할 2030 NDC(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실행으로 옮겨야 할 시기"라며 "우리에겐 위기 해결은커녕 문제를 더하는 지도자와 함께 허비할 시간이 남아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은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을 두고 "결코 좋은 점수를 주기 어렵다"며 "2023년 발표한 탄소중립 기본계획은 산업 부문의 감축목표를 대폭 완화해 우리 산업의 탄소 고착화를 방치했고 연도별 감축 계획은 2025년 이후로 떠넘기는 무책임함을 보였다. 제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도 배출권 과잉 공급이란 고질병을 고스란히 남긴 소극적 개편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기후솔루션은 "한국의 풍력, 태양광은 전체 발전량의 5%에 불과해, 여전히 OECD 꼴찌 수준"이고 "화석연료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을 금지하기 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출신용협약 개정 협상에서도 한국은 튀르키예와 함께 유이한 반대 국가"라는 점을 환기했다. 기후솔루션은 "올 9월은 198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의 2035년 NDC 제출시한"이라며 "2035 NDC와 2049년까지 감축 목표 설정은 지난 정부에서 거듭되어 온 '기후실패 정치'와 작별하고 국제 사회에 한국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기회"라고 강조했다. 녹색연합은 "선거를 통해 새로 구성될 정부는 사회 개혁 과제를 재수립하고 추진해야 한다"며 "민주공화국의 시민이 주인이 되는 세상, 정의로운 경제와 민생이 안정된 사회, 평화와 주권 역사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 기후위기 너머 정의로운 생태사회, 모두의 행복한 삶을 위한 돌봄 중심사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