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조별 과제'가 된 이 문제는, 때로 막막하고 자주 어렵다. 우리는 각자 무얼 할 수 있을까. 문화 속 기후·환경 이야기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끌고, 나아갈 바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 앞에 제작 중인 모래 조각 작품 '고래 가족의 여행' ⓒ 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모래 위를 스치는 바람과 물결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그러나 작가의 손끝에서 태어난 모래조각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며 말을 건넨다. 젓가락 하나로 빚어진 바다거북이와 고래의 형상은 곧 허물어질 운명이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오래도록 남는다. ‘사라지는 조각’ 속에는 사라져선 안 될 경고가 있다. 모래 속에 담긴 목소리는 오래 남아 주변에 기후·환경 위험을 알린다.국내 모래조각 선구자인 김길만 작가는 최근을 주제로 한 작품을 공개했다. 누구나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는, 열린 형태의 공공예술이다.김 작가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다. 가난으로 중학교 시절, 미술학원 한 달 다니지 못했지만 1987년 친구와 들른 해운대 백사장에서 평생의 작업을 시작했다. “돈이 들지 않는 예술”은 그에게 유일한 캔버스였고, 바닷가는 작업실이자 스승이었다.김 작가는 조소용 조각칼 대신 나무젓가락을 사용한다. 1990년 무렵, 한 아이가 핫도그를 먹고 버린 젓가락에서 영감을 얻은 뒤 지금까지 같은 도구를 쓴다. "직선을 표현하기에는 금속 도구가 좋지만, 곡선은 젓가락이 훨씬 정밀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젓가락 하나로 그는 여성의 머릿결, 해마의 눈망울까지 조각한다.최근 김 작가는 해양 생태계 보호 메시지를 담은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고래 작업에 앞서 3월에는 기장 임랑해수욕장에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을 형상화했다. 김 작가는 "거북이 한 마리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예쁜 조각만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그의 모래는 곧 사라질지도 모른다. 바람이 불면 무너지고, 파도가 덮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하지만 김 작가는 "없어진 자리에서 또 다른 걸 시작할 수 있다는 게 모래의 매력이다" 장호근(왼쪽) 전 국방대 부총장과 최근 펴낸 ‘미 해군의 한국전쟁 항공작전’ 표지. 표지 사진에 하늘을 날고 있는 항공모함 함재기가 미 해군의 단좌 단발 프로펠러 전투기로 6·25전쟁 때 맹활약한 F4U-4B 콜세어(해적선)다. 장호근 전 국방대 부총장/인쇄의 창 제공 6·25전쟁 기간 유엔군 해상전력의 핵심인 디젤엔진 항공모함(항모) 중 미국 17척을 비롯, 영국 6척, 호주 1척 등 24척의 항모들이 순차적으로 참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항모에 탑재된 함재기들이 한반도 동·서·남 해안에 진입, 각종 전투에서 항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등 전쟁 흐름을 바꾸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30여년 간 공군에서 전투 조종사로 근무한 장호근(79·예비역 소장·공사 17기) 전 국방대 부총장이 최근 펴낸 6·25전쟁 당시 미군과 유엔군 항모 24척에 탑재된 함재기들의 활약상을 다룬 ‘미 해군의 한국전쟁 항공작전’(인쇄의 창 刊)이 여기에 대한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준다. 1950년 6월25일 북한군 기습 남침으로 시작돼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으로 휴전되기까지 1129일 동안 6·25전쟁은 압도적으로 지상전 위주 전쟁이었다. 책 감수를 맡은 허남성 국방대(군사사학) 명예교수는 “6·25전쟁 전체 모습을 이해하려면 항공작전과 해상작전을 보다 더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미 해군 항모들의 항공작전에 대한 상세한 사료들이 발굴되지 않아 그동안 갈증이 증폭됐다. 6·25전쟁 항공작전에 대한 갈증을 대부분 해소시켜준 역작”이라고 극찬했다. 이어 “전쟁 초기에 한반도의 항공기지들은 워낙 열악했고, 더구나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린 상태에서는 일본의 기지로부터 출격한 항공기들은 항속거리 때문에 한반도 전선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제한적이었다”며 “미국은 (2차세계대전 후) 2선으로 물리려 했던 항모들까지 긴급히 동원해 한반도 해역에서의 항공작전을 메울 수밖에 없었다”고 평가했다. 항모 기반 항공력은 지상의 기지와 달리 ‘움직이는 비행장’으로서의 가치와 이점을 발휘했다. 미 해군 최초의 제트전투기인 F9F-2 팬더. 위키피디아 대부분의 6·25전사 기록이 지상전 일변도인 데 비해 ‘미 해군·해병대 전투기의 공대지 항공작전을 중심으로’ 부제가 붙은 데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