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남산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로 확대 지정한 뒤 2주 동안 이들 4개 구의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가 10건에도 못 미쳤다. 서초구와 용산구는 아직까지 거래 신고가 한 건도 없는 등 허가구역 확대 초기에 거래 침체 양상을 보일 조짐이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강남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3월 24일 이날까지 서울시 전체 매매 신고 건수는 총 629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4개 구의 거래신고 건수는 총 9건에 그쳤다. 강남구가 8건, 송파구가 1건이며 서초구와 용산구는 2주간 거래 신고건수가 한 건도 없었다.강남구는 거래 신고가 된 전체 8건 중 6건은 대치동 은마아파트(3건)·개포 우성2차(1건), 압구정동 한양1차(1건)·현대2차(1건) 등 정비사업 단지로 기존에도 토허제 대상으로 묶여 있던 곳들이다. 송파구는 토허구역 확대 지정 후 2주간 개인 간 직거래로 팔린 잠실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31㎡ 단 1건만 신고되는 데 그쳤다.이번에 일반 아파트까지 새롭게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서초구와 용산구는 아직까지 거래 신고가 한 건도 없다. 토허구역 확대 전에 비하면 매수세가 확연히 꺾였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평가다.서초구 반포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토허구역 지정 후 매수 문의가 거의 없고 향후 집값 상황을 예단할 수 없어 관망세가 뚜렷하다”고 전했다.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재개발 입주권의 허가 대상 여부나 다주택자 주택 매도 여부·매도 기간 등에 있어 구청별로 적용 기준이 달라 시장의 혼란이 있다고 보고 조만간 통일된 기준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다.올해 들어 집값이 오르면서 직거래 비중은 감소했다. 직거래는 중개업소를 거치지 않고 개인 또는 법인 등 계약 당사자들끼리 사고파는 것이다. 일부는 중개수수료를 아끼려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특수관계인 간의 증여성 저가 [김현석 기자]예술은 시간을 담는 작업이다. 예술가는 시간의 한계 안에서 자신이 마주한 진리를 드러내고, 시간의 바깥에서 역사와 대화하며, 시간의 변화 가운데 자연의 얼굴을 비추려 시도한다. 그렇게 예술가는 '시간의 얼굴'을 끊임없이 포착하고, 창작의 의지를 담아 작품을 창조한다.예술가는 공간의 형태를 다듬어 시간의 얼굴을 만들어낸다. 시간을 담은 얼굴은 공간이면서 시간, 표면이자 내면이다. 형식으로 실질을 담는다. 본질을 드러내면서 쉽게 감춘다. 변화하면서 또 그대로다. 흐르면서 동시에 멈춰있다. 의식을 지향하면서 무의식을 드러낸다. 의지를 담되 욕망을 가로지른다.50년 지난한 예술가의 운명을 짊어지고, 강종열 작가는 고향 여수와 동티모르 절망의 공간에서 희망과 자연의 얼굴을 마주했다. 그는 여순 비극의 역사현장에서 역사와 시간의 얼굴을 만나기 위해 애썼다. 예술가는 기꺼이 자신의 삶을 내어주었고, 시간은 그에게 작품의 탄생을 허락했다(관련 기사: 초청국 대통령 만나 "양심대로 그리겠다" 하자, 돌아온 답 https://omn.kr/2cu3g )동백화가 강종열 초대전이 전남도립미술관에서 3월 28일부터 5월 25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고향 여수와 섬 작업과 동백 연작, 동티모르의 역사와 한 인간의 생애사, 여순항쟁을 다룬 목탄화와 회화 작품들을 전시한다.희망의 얼굴, 태양이 밝게 빛나는 이유▲ 불안한 미래, 2004, 72.7×53.0cm, Acrylic on canvasⓒ 강종열 티모르로로사에(Timór-Lorosa'e). 동티모르의 정식 국가명이다. 강종열 작가는 2004년 아름다운 '해 뜨는 동쪽의 티모르 섬'과 인연을 맺는다. 같은 해 한국을 방문한 동티모르 사나나 구스마오 대통령과의 만남을 계기로 동티모르의 아픈 역사와 내전에 지친 사람들의 모습을 화폭에 담을 수 있었다. 티모르 섬은 붉은 태양 아래 야자수와 맹그로브나무가 빽빽한 풍경을 펼쳐보이고, 원시 바다와 절대 자연의 에너지를 뿜어내고 있었다. 그러나 동티모르는 작가가 본대로 '너무 아름다워 오히려 슬픈 땅'이었으며, 산 자의 고통은 죽은 자의 운명보다 무거운 곳이었다.포르투갈 식민지배 400년
사진은 서울 남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