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홍준표 시장 페이스북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연합뉴스) 이덕기 이강일 기자 = 여권 내 유력 대선 후보 중 한 명인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선 출마 의사를 거듭 강하게 피력했다.홍 시장은 6일 자신의 페이스북 글에서 "25번째 이사를 한다. 53년 전 동대구역에서 야간열차를 타고 상경했던 그 시절처럼 이번에는 고속열차를 타고 상경한다"며 "마지막 꿈을 향해 즐거운 마음으로, 그 꿈을 찾아 상경한다"고 대선 출마 의사를 다시 밝혔다.홍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처럼 쓰고 "다음 주는 바쁜 한 주가 될 것 같다. 화요일 퇴임 인사 다니고, 목요일은 시의회에 퇴임 인사하고, 금요일은 대구시청 직원에게 감사 인사를 할 예정이다"며 주중 시장직 사퇴 의사도 했다.그는 또 글에서 월요일인 7일에 '꿈은 이루어진다', 수요일인 9일에는 '제7공화국 선진대국 시대를 연다'를 각각 출간한다고 덧붙였다.그는 이날 또 다른 글에서는 "한번은 민심에서 졌고, 두 번째는 민심에서 이기고 당심에서 졌다"면서 "이번에는 민심과 당심에서 모두 이겨 제7공화국 선진대국 시대를 열겠다"고 다짐했다. 홍 시장은 또 "100년 미래 대한민국의 기틀을 만들겠다"면서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나아가겠다"고 했다.특히 "30년 준비한 경륜과 국정철학으로 박근혜 탄핵 때처럼 패전 처리 투수가 아닌 대한민국 구원투수가 되겠다"고 강조했다.홍 시장은 이어 또다른 글에서는 현재의 대입제도와 관련, "대입시에서 수능 기준 선발은 18.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수백 가지 정성평가로 대학별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현 입시제도는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부정, 특혜 입학의 소지가 그만큼 크다"고 진단했다.그러면서 "일 년에 수능 두 번 치고 그중 좋은 점수로 대학에 들어가도록 단순화해야 한다"면서 입시제도 개편 방안을 제시했다.그는 "상류층 자제들만 일류대학에 들어가는 현 입시제도는 음서제도에 불과한 신분의 대물림이다"고도 했다.이에 앞서 홍 시장은 지난 5일에도 "30여년 정치 인생의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하고 철저하게 준비해 왔다. 다음 주부터 그 절차를 차례로 밟아 국민 여러분 앞에 다시 서겠다"고 페이스북에 썼다.홍 시장이 사퇴하면 [연합뉴스]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의 관세 발표 여파로 코스피 지수가 한 주 동안 3% 넘게 하락했다. 미국 주요 지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관세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 있어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 다.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3.62% 하락한 2465.42에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0.92% 떨어진 687.39를 기록했다.국내 증시는 공매도 전면 재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리스크 심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등이 겹치며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 26일(현지시간) 발표된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방침 이후, 관세 현실화 우려가 커지며 시장의 변동성도 확대됐다. 여기에 관세 충격으로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같은 기간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약 6조50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으며, 유가증권시장에서는 6거래일 연속 순매도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7거래일 연속 매도세가 이어졌다.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을 중심으로 유동성 공급이 기대됐지만, 관세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오히려 자금 이탈이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다만, 미국 증시와 비교하면 국내 증시는 상대적으로 방어에 성공했다는 평가도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7.86%, S&P500지수는 9.08%, 나스닥지수는 10.02% 하락했다.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조치에도 코스피 지수는 장중 낙폭을 일부 회복하는 등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며 "한국은 이미 2024년부터 트럼프 리스크를 선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선 선제 대응보다는 주요 이벤트 결과를 확인한 뒤에 움직이는 전략이 더 유효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일각에서는 현재 부과된 관세가 최대치일 가능성이나, 향후 협상 과정에서 낮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 수준의 안도감이 형성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주요 경제권 간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기존 관세 배제 항목들에 대한 추가 적용 가능성도 있
[홍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