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15 00:42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국,
한국, 중국, 일본 3국 문화차관이 14일 일본 도쿄 이이노홀에서 열린 '한중일 문화 교류의 해 개막식' 행사에서 문화 교류의 해 로고를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가오정 중국 문화여유부 부부장, 노나카 아쓰시 일본 문부과학성 차관, 용호성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이희섭 한중일3국협력사무국(TSC) 사무총장. 도쿄=류호 특파원 한국과 중국, 일본의 정부 고위급 인사들이 보름 만에 다시 만났다. 한중일 3국은 올해와 내년을 교류 확대를 위한 '문화 교류의 해'로 지정하고 관계 강화를 모색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한중일이 부쩍 거리를 좁히고 있는데, 관세 정책 등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한 외교·경제 정책을 고려한 움직임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중일 3국은 14일 일본 도쿄 이이노홀에서 '한중일 문화 교류의 해 개막식'을 개최했다. 용호성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가오정 중국 문화여유부 부부장, 노나카 아쓰시 일본 문부과학성 차관이 각국 정부 대표 인사로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한중일 정상이 지난해 5월 27일 서울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2025, 2026년을 3국 문화 교류의 해로 지정하기로 합의해 개최됐다. 노나카 차관은 "문화 교류의 해는 문화는 물론 여러 분야의 3국 협력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일은 한 달 사이 세 차례나 만났다. 지난달 22일 도쿄에서 제11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를 개최했고, 지난달 30일에는 서울에서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회의를 열었다. 2023년 11월에 개최한 제10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4년 만에 열린 것과 비교하면 3국 관계가 올해 들어 한층 가까워진 것이다. 안덕근(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장관, 안 장관, 왕 원타오 중국 상무부 부장. 왕태석 선임기자 한중일의 최근 밀착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하고 있다. 왼쪽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미국과의 ‘통상 협상’ 전면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권한과 책임성이 취약한 대행 정부가 졸속 협의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새 정부는 불과 두달여 뒤 출범한다.한덕수 권한대행은 14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4차 경제안보전략태스크포스(TF)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을 통해 해결점을 만들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 대행은 “하루이틀 사이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와 관련해 한-미 간에 화상회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미) 양국이 논의를 이어가기 위한 우호적인 모멘텀이 형성됐다”고 덧붙였다.한 대행은 또 최근 미 정부의 상호관세 적용 90일 유예 조처와 스마트폰·컴퓨터 등 일부 품목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 제외 방침에 대해 “자신과의 통화 이후(미국이 한 발표)”라고 강조했다.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 대행의 통화와 미 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는 별다른 인과 관계가 없음에도 아전인수식 설명을 내놓은 것이다. 그는 “(트럼프와의 통화 당시) 어느 점에서 어떻게 협상을 진행해갈 것인지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상세히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매우 만족해했다”고 말했다.재계에선 한 대행의 이런 행보와 발언에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4대 그룹의 한 사장급 임원은 한겨레에 “현재까지 확보한 정보가 적은 상태에서 우리 정부가 나서 협상 진도를 뺄 이유가 있을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또 다른 주요 그룹 고위 임원도 “알래스카 엘엔지 사업은 국내 기업 간 이해 충돌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국내 기업 간 이익 조정을 위한 논의도 부족한 상황에서 알래스카 투자 건을 미국과의 협상 판에 우리 정부가 들이미는 게 바람직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알래스카 사업은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고 이익 회수는 장기간에 걸쳐 이뤄질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런 까닭에 에너지 업종 기업은 투자 위험을 떠안고, 자동차 등 다른 업종에 속한 기업은 관세율 인하라는 수혜를 누리는 ‘이익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