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5]◀ 앵커 ▶요즘 일본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16 02:48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뉴스25]◀ 앵커 ▶요즘 일본의 쌀값 상승이 심상치 않습니다. 14주 연속 오르고 있는데요.현지에선 '쌀 소동'이라 불릴 정도로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에 여행 왔다가 쌀을 사가는 일본인들도 있다고 합니다. 도쿄 신지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쿄 시내의 한 마트에 가봤습니다. 쌀 5kg을 4,400엔, 우리 돈 약 4만 4천 원에 판매 중입니다.1년 새 두 배가 올랐습니다.[요시하라 카오리] "위로 아들이 둘 더 있어요. 한창 먹을 때라… 빨리 쌀값이 안정됐으면 좋겠어요."SNS에선 한국의 쌀값이 화젭니다.'한국에 간 김에 현미와 백미를 사왔다'며 '근육 훈련을 한 것 같다'는 경험담부터, 일본에서 8만 원이 넘는 쌀 10kg이 '한국에선 3만6천 원에 판다'며 가격을 비교합니다. '돌아갈 때 쌀을 사가야 하나 고민 중'이라는 여행객의 글도 눈에 띕니다.[이나가키 타다시/농림수산성 식물방역소 차장] "확실히 작년 여름부터 쌀 반입이 늘었습니다. 한국에서 쌀을 가져오는 분들 대부분 증명서까지 제대로 챙겨오는 편입니다."쌀을 못 구해 임시로 문을 닫거나, 아예 폐업해버린 쌀 가게도 늘고 있습니다. 대형 유통업체는 고육지책으로 일본산 20%에 미국산 80%를 섞은 쌀을 팔기 시작했습니다. 이달 들어서만 소고기덮밥과 삼각김밥의 가격이 10% 안팎으로 인상되는 등 쌀값 고공 행진은 외식물가도 흔들고 있습니다.[소비자] "(가격이 올라) 앞으로 좀 덜 가게 될 것 같네요."쌀값은 벌써 14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작황이 나빠져 공급이 줄었다고 해도, 왜 이렇게 계속 오르는지, 일본 정부는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재난 상황에만 풀었던 비축미까지 두 차례나 풀었지만 가격은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장기간 진행해온 감산 정책의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이 때문에 일각에선 올해 햅쌀이 나올 때까진 쌀값이 잡히긴 어려울 거란 암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도쿄에서 MBC뉴스 신지영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 백동현 기자 “한국은 마약 제조국, 일명 암페타민 생산국이다.” 영국의 한 중등 과정 교과서에 한국에 대한 중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주영국대사관에 시정 협조 요청을 했지만 해당 공관은 오류 시정 활동을 전혀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영국 교과서에는 이 같은 내용이 수정 없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감사원은 15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재외공관 운영실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과 라오스·헝가리 등 11개 재외공관은 2021~2023년 교육부 산하기관인 한중연으로부터 교과서의 오류 사실을 통보받고도 해당 국가의 교육부나 교과서를 발간한 출판사 등에 시정요구를 하지 않았다. 외교부가 2014년부터 교육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따라 한중연은 매년 외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오류 사항을 외교부와 재외공관에 전달해 왔다. 특히 영국의 또 다른 교과서에는 “4세기쯤 일본군이 한국 남부에서 가야와 주변을 정발한 뒤 임나에 식민지를 설치했다”는 허위 사실도 적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영국대사관 측은 2021~2023년 “시정요구를 해달라”는 한중연 측의 요청을 세 차례나 받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라오스의 한 교과서에는 “러시아 제국이 1864~1875년 한국을 점령했다”거나 “남한 인구의 63%는 농민이고 시골에 산다”는 잘못된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 헝가리의 교과서에는 한반도를 “징기스칸 제국”이라고 하거나 “한 제국 시대 중국 땅”이라고 표시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하지만 현지에 주재한 대사관은 한중연 측의 시정 요청에 회신을 하지 않았고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또 2023년 기준으로 재외공관의 1인당 하루 비자 심사 건수는 공관별 최소 0.52건에서 최대 517.45건으로 큰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2023년 인도네시아에서는 한국 입국 비자를 신청한 사람만 12만1600명이었지만 대사관 직원 1명이 비자 심사 업무를 전담했다. 감사원은 외교부가 공관별로 비자 심사 업무량을 정확히 고려하지 않고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며 개선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임정환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