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은5월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19 16:22 조회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은5월 2일 (금) 부터 5월 16일 (금)까지 총 2주간 진행됩니다.청년내일저축계좌직업군인이나 공무원 또한 똑같이 소득세를 내고 사회보장보험을 다 냅니다. 그러니 당연히 내일저축계좌도 조건을 충족한다면 가입이 가능한거죠.다만, 만기 전에 본인이 적립한 부분에 한해서 중도인출 가능하니 이건 메리트 입니다.걱정 안하셔도 됩니다.3년 만기이므로 내가 360만원 (10만원 x 36개월) 납입하면, 정부가 똑같이 360만원 납입해서 총 720만원을 수령하게되고, 여기에 추가로 이자가 나옵니다. (정부기여금에도 이자가 붙지만, 이자소득세 15.4% 면제는 없음)본인납입금 에 대해주소지 상관없이 동일 시군구 내면 모든 주민센터에서 접수가 되고, 복지로에서도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은① 나이/② 소득 (가족 소득도 봄)조건이 붙습니다. (무직이면 안되고 소득이 있어야됨)소득이 없어진다면...?가입이 가능다만, 해지가 되더라도, 기존에 정부에서 주던 기여금은 그대로 적립된 상태로 개인에게 모두 줍니다.기본적으로 직업군인이나 공무원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군인 중 장병 (병사)의 경우 비과세 소득이므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청년내일저축계좌는 심플합니다. 매월 22일까지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매칭기여금으로 똑같이 10만원 납입해줍니다.적립중지군입대 / 출산 / 임신나이 조건을 충족했다면, 개인 소득과 가족 소득 조건을 충족하기만 하면 신청이 됩니다.먼저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라면 만15세 ~ 만39세 이하면 가입이 되고, 중위소득 50% ~ 100% 이하라면 만19세 ~ 만34세까지만 됩니다.참고로 만약 가입 이후에 계층이 변화된 경우 (소득이 줄어 차상위 계층으로 바뀐 경우) 가입 시점 기준으로 그대로 적립금이 나갑니다 (10만원 픽스) 만약 30만원을 받고 싶으면 탈퇴 (환수) 후 재가입 해야 됩니다.참고로 적립계좌는 크게 2가지입니다.본인이 납입하는 적금계좌가 있고,정부 지원금이 적립되는 입출금 계좌2개로 운영 됩니다.직업군인이나 공무원도매년하는데, 2025년도 어김없이 합니다. (일정에 맞춰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이미 가입한 이후 퇴사로 인해 소득이 없어진다면 원칙적으로 환수 대상이 됩니다. 즉, 가입해제가 되죠.만약 군대 입대나 출산 / 육아휴직 등을 이유로 퇴사해서 소득이 끊긴다면, 2년간 적립중지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2년간 납입하지 않더라도 해지되지 않죠. 만약 2년간 입대나 육휴에도 불구하고 납입하고 싶다면 적금납입도 가능합니다 (기여금도 당연히 나오고요)2금융권 (저축은행) 적금 금리가 훨씬 높으니, 10만원만 청년내일저축에 넣고, 나머지는 5~6%주는 2금융권에 넣으면 됩니다 (어차피 5천만원 한도까지 예금자 보호 됨)본인납입금의 경우 기본이 10만원이지만, 원하면 최대 50만원까지 자유적립이 됩니다. 다만,많이 낸다고 해도 정부기여금 최대는 10만원이므로 사실 기본 10만원만 넣는게 딱 좋습니다 (이자라고 해봐야 2% + 우대금리이니까요)육아휴직은 예외유지 중에 나이가 초과되더라도 꾸준히 납입이 가능합니다.만기 때 720만원 + @ 받음다만, 이때 가족은 주민등록 등본상 가족을 말합니다. 만약 본인이 독립해서 따로 살고 주민등록이전을 했다면 1인가구로서 239만원 이하면 됩니다.대한민국 정부나 지자체에서 하는 사업 중가장 혜자 사업이 바로 내일저축계좌입니다.청년도약계좌 보다 훨씬 좋죠.다만, 그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조건부터 살펴보셔야 합니다.가입 이후 소득의 변화신청기간 달력에 잘 체크하시고, 청년내일저축계좌 일정에 맞춰서 신청하시기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차상위계층 (중위소득이 50% 이하)이라면, 10만원 매칭이 아니라 30만원 매칭이니,중위소득이 50% 이하인 청년 가구는 무조건 x 100 가입해야 됩니다.3년동안 360만원 넣고 1440만원+@ 받는거니까요반대로 차상위 계층으로 신청해서 30만원 받다가 중간에 가구 소득이 늘어서 차상위에서 탈락해도 기존과 동일하게 30만원 지원금이 나가는 구조입니다.앞서 공무원 부분을 언급했는데, 아마 공무원의 경우 신입 공무원이 아니면 소득 기준때문에 대부분 배제될 겁니다. 그러니 9급 공무원이라면 초기에 바로 가입하실 추천드립니다.드디어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이 거의 다가왔습니다 (달력에 체크 필수)중간에 퇴사해서유지 중 나이 조건을 초과개인 소득 조건 & 가족 소득 조건3년 360만원 넣고먼저 가구 소득 (가족 소득)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면 차상위 계층으로서 매월 30만원의 매칭 기여금을 받습니다. 10만원 내고 40만원 적금 붓는 셈이죠. (이 경우에도 10만원 이상의 소득인 있어야됨)신청방법그리고 연장한 만큼 만기일도 연장됩니다. 기본 3년 납입이지만, 군입대로 2년 연장하면 만기일은 5년이 되는거죠 (정부기여금은 3년치만 나옴)가족 기준은 주민등록등본상 같이 사는지 여부가 기준임그리고일반 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1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