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21 05:31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연합뉴스 연합뉴스 ▶ 글 싣는 순서①중국에 다 먹히는데 마른걸레 짠다…돌파구는?②트럼프 관세가 K배터리에 기회될수도…"틈새로 美 시장 공략"(계속) 국내 배터리 산업이 중국에 밀리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 관세 전쟁으로 시장 불확실성까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위기가 기회라는 시각도 있다. 전문가들은 생존을 위해서는 관세 전쟁을 시장 확대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로 중국 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진 틈을 타 미국 등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트럼프 관세에 韓 배터리 '휘청'…시장 불확실성 커져 대한상공회의소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 보고서 캡처 트럼프 발 관세 폭풍이 몰아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의 혼란도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 중국에 밀려 힘을 쓰지 못하는 상황에 이어 엎친 데 덮친 상황이다. (관련기사 : 중국에 다 먹히는데 마른걸레 짠다…돌파구는?)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1일 발표한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업종이 84.6%로 관세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 중 60.3%가 관세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미중 간 관세 전쟁이 심화하는 점도 불안 요소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4일부터 중희토류와 희토류 자석 등 총 7종의 수출을 통제했다. 중국은 전 세계 중희토류 공급량의 99%, 희토류 자석 90%를 생산한다. 문제는 국내 배터리 업계가 핵심 부품에 쓰이는 희토류 중 절반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업체는 일정 수준의 코발트 등 재고를 비축해 당장의 큰 영향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미중 간 관세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가 배터리 수요 감소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배터리 총수요의 70~80%가 전기차 부문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다음달 3일부터는 150개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IBK 이번 주 본격적으로 시작될 미국과의 관세협상을 앞두고 우리 정부가 원하는 '관세율 인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상 전문가들은 범부처적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속도'를 내며 밀어붙여도 우리는 다른 나라의 협상 과정을 지켜보면서 '방어'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섣불리 협상 카드를 보여주면 실익을 모두 내줄 수 있다는 우려다. ■통상뿐 아니라 범부처 대응 필요 곽주영 연세대 경영대 교수는 20일 파이낸셜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주 시작되는 한미 고위급 관세협상에 대해 "무역 외의 이슈까지 고려해 범부처적으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대비해야 한다"며 "우리 협상팀은 수비수 역할로 대비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곽 교수는 "(미국이) 일본하고 협상할 때 주일미군 방위비까지 거론했는데, 협상장에서 주일미군 관할부처 담당자가 없어 굉장히 당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범부처적으로 한미 간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전부 다 검토해야 한다"며 "우리 행정부에 큰 부담이지만, 이번 협상을 앞두고는 어쩔 수 없다"고 강조했다. 최원목 이화여대 법학대학원 교수도 "우리 정부는 통상팀 위주로 협상하려는 것 같은데, 미국은 전혀 다른 이슈를 꺼낼 수 있다"며 "국방부 등 각 부처의 관련 사항을 전부 모아서 가야 하며, 각 부처를 협상팀에 참여시키면 더 좋다"고 조언했다. 최 교수는 "통상 협상이라고 생각하고 가면 상대방 요구만 잔뜩 듣고, 우리는 얻는 것이 별로 없는 상황에 빠질 수 있다"며 "이번 협상은 '패키지딜'이고, 전체 국익에 입각한 협상이라는 마인드를 갖고 통상팀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두르지 말고 협상은 길게" 협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제언도 나왔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는 상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트럼프 1기에서는 신속한 협상을 통해 유리한 결과를 얻은 전례가 있다. 당시 미국 정부가 무역적자 완화를 위해 해외 국가들에 고율관세 압박을 가하자 한국 정부는 가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