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옥 기자] "새싹 위에 또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22 00:20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윤옥 기자] "새싹 위에 또롱또롱 봄비가 찾아왔어요. 봄나들이 가자고 또로롱또로롱 봄비가 놀러 왔어요. 어서어서 자라라고 쭈욱쭈욱 봄비가 내리고 있어요. 서현이 봄비는 조롱조롱 할머니 봄비는 대롱대롱" – 42쪽 '봄비 1' 가운데 - "하얀 꽃, 노란 꽃 봄 속에 파묻혀서 색깔 꽃놀이하다 배고픈 서현에게 '서현아, 뭐가 먹고 싶니? 묻자마자 '까만 국수', 까만 국수 무얼까 곰곰이 생각하니 국수에도 색깔들이 하얀색, 노란색... 우리는 짜장면 집으로 룰루랄라" - 54쪽, '까만 국수' 가운데 - 이는 정현경 작가의 동시집 <세 살배기의 말 몸살-세 살에게 배우다>(2025년 2월 출간)에 나오는 노랫말이다. 분홍빛 표지에 새싹을 그린 꽃잎을 아로새긴 동시집을 손수 들고 연구소를 찾은 정현경 작가를 지난 15일 만났다. 진주의병장 정한용의 증손녀로 태어난 정현경 작가는 의병장 할아버지의 삶을 다룬 <바람은 썩지 않는다>(전 2권, 2019, 2023)를 썼으며 시집 <우화의 날갯짓>(2029)을 쓴 탄탄한 실력을 지닌 수필가이자 시인이다.지인인 그가 돌아간 뒤, 그의 앙증맞은 동시집을 열어 보았다."손주 돌봐 달라는 딸의 요청에 난 별 고민 없이 승낙했다. 세 남매를 키웠고 어린이집 교사로 아이들을 돌본 경력이 20년이었다. 나의 전문 인력이 내 손녀의 성장에 보탬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늘 품고 있었다. 젊어서는 내 자식들 키워 내느라 진액을 다 빼고, 이제 여유를 즐 기며 산천 유람하며 살아야 할 나이에 이 무슨 고된 노역인가 할 수도 있었다. 또 내 삶을 송두리째 다시 손주들 돌보미로 나의 황금 같은 시절을 보내야 하나 하는 회의감이 들 수도 있었다. 하지만 나는 어린이집 교사 경력을 지원군 삼아 그러겠노라 했다. 내 손주를 내가 돌보지 않으면 나중에 후회할 것 같아 자원했던 것이다." ▲ 세 살배기의 말 몸살《세 살배기의 말 몸살-세 살에게 배우다》, 정현경, 좋은땅ⓒ 좋은땅 나는 정현경[앵커]차기 대통령은 당선 확정과 동시에 곧바로 임기를 시작합니다. 새 대통령의 집무실 어디가 될지 관심이 큰데 용산이냐, 청와대냐, 세종이냐,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시민들의 이야기 들어봤습니다.[기자]2022년 3월, 윤석열 당시 대통령 당선인은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겠다며, 그 이유를 이렇게 밝혔습니다.[윤석열/당시 대통령 당선인 (2022년 3월 20일 / 기자회견) : 대통령이 일하고 있는 모습과 공간을 국민들께서 공원에 산책 나와서 얼마든지 바라볼 수 있게 한다는…]하지만 일반 국민은 커녕 언론의 취재도 쉽지 않았죠.용산 대통령실 시대의 1막은 결국 '탄핵'으로 끝났습니다.이 아름다운 벚꽃과 그 위에 봉황기가 내려진, 주인 잃은 대통령실의 모습이 대비가 되는 것 같습니다.3년도 채 안 간 용산 시대.그래서 이 '실패한 대통령의 공간'을 차기 대권 주자들은 사용하길 꺼려할 거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시민들도 비슷한 생각이었습니다.[이만용/경기 남양주시 : 용산은 아닙니다. 용산은 아닙니다. 용산은 아닙니다.][이정민/인천 : 실패라는 이미지가 용산에 각인되어 있지 않을까…]실제 지금까지 각 당 대선 주자 중, 용산에서 임기를 끝마치겠다는 뜻을 밝힌 사람은 없습니다.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이 있습니다.이미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서 이곳 용산 대통령실에, 대통령실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춰 놓은 상태고, 이번 선거는 인수위 없이 선거일 바로 다음날부터 새 대통령 임기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미리 공간을 마련해 놓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다시 주목받는 곳 중 하나가 바로 청와대입니다.2022년 5월 일반에 개방된 후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지금은 인기 관광지가 됐습니다.청와대 관람 코스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높은 접견실, 그리고 이곳은 대통령 집무실입니다.지금도 제 주변에 많은 관광객들이 사진 찍는 모습을 볼 수가 있는데요.최근에는 올 6월에 선출될 다음 대통령 집무실이 바로 이곳이 될 것인가, 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새 정권이 들어서면 관람이 중단될 수도 있단 예상에, 서둘러 방문한 시민들이 적지 않았습니다.[박민수/청와대 관람객 : 미디어 매체를 봤는데 청와대 관람이 중단될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