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를 덮친 초대형 산불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4-29 13:50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경북 북동부를 덮친 초대형 산불로 농작물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가운데 경북 의성군 단촌면 마늘밭의 마늘잎이 타들어가고 있다. 마늘 대파대는 지원 보조율이 50%에 불과하다. “재해·재난 지원금은 역대 최악의 산불이 완전히 앗아간 삶의 터전을 재건하고 농사를 다시 지을 수 있도록 제대로 지급돼야 합니다. 국가의 재난 지원이 다시 일어나려는 농민의 희망과 의욕을 북돋진 못할망정 꺾지는 말아야죠.”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덮친 초대형 산불로 농업피해가 막대한 가운데, 복구비 등 정부 재난지원금의 지급 기준이 현실과 동떨진 데다 피해농가의 영농 재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현장에서 일고 있다. 경북도와 일선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번 산불 피해는 ‘사회적 재난’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에 따라 농업복구비와 생계비 등 재난지원금이 지급된다. 복구비는 직접 지원과 간접 지원으로 나뉜다. 직접 지원 항목은 농약대와 대파대, 가축 입식비, 농업시설과 농기계 보상이다. 항목별로 보조비율이 다른데, 농약대는 전액(보조비율 100%)을 지원한다. 과수의 경우 1㏊(3000평)당 276만원, 채소류는 218만원, 인삼은 368만원이다. 대파대는 과원이나 밭 피해가 심해 작물을 다시 식재해야 할 경우 주는 지원금으로, 보조율은 50%다. 사과 과원의 경우 기준금액(묘목 기준)은 1㏊당 1766만원으로, 농가 지원금은 기준액 절반인 883만원이다. 마늘은 527만원 정도다. 비닐하우스·농막·농기계는 지원금 보조율이 35%로 더 낮다. 농림축산식품부 고시에 따르면 현행 트랙터 1대(45∼60마력) 기준가격은 1545만원으로, 이 금액의 35%인 540만7500원만 지원된다. 보상 기종도 트랙터·콤바인·스피드스프레어(SS기) 등 11종에 불과하다. 이에 산불 피해농가들은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사과농가 정희호씨(56·경북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는 “지원 기준단가가 너무 낮아 농업 현실과 괴리돼 있을 뿐만 아니라 지원 비율이 항목에 따라 다른 것도 문제”라면서 “예기치 못한 재앙으로 평생 일군 삶의 터전과 생계수단이 한순간 잿더미가 된 주민과 농민들에게 너무 [앵커]'기후 위기'를 소재로 한 여러 창작물들, 이제 더는 낮설지 않죠.세계 각국에선 창작 활동을 통해 기후 위기를 알리고 극복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김진희 기자가 전합니다.[리포트] 대학에서 환경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강의실이 아닌 극장에 모였습니다.기후 위기를 코미디로 풀어내는 수업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을 무겁지 않고 친근하게 알아갑니다.교수들은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후 유머'가 효과적이라고 보고, 수업에 도입했습니다.[비앙카 칼데론/학생 :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웃으면 그게 머릿속에 남잖아요. '세상에, 너무 웃겼어' 하고 떠올리면, 그 정보도 같이 기억되거든요."]매년 열리는 '기후 위기 코미디 발표회'에서 학생들은 직접 창작한 코미디를 선보이기도 합니다.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선 이색적인 연극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작은 보트 위에서 판지로 만든 동물 인형극이 펼쳐졌습니다.기후 위기로 살 곳을 잃고 북쪽으로 이동하는 동물들의 이야기로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아미르 니자르 주아비/예술감독 : "동물들이 도시로 침입하는 이 설정은 하나의 은유입니다. 우리가 화석 연료에만 매달린 채 나아간다면, 앞으로 무엇을 잃게 될 지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이 인형극은 아프리카를 넘어 북극까지 나아가며 선보일 예정인데요.기후 위기를 어렵지 않게 풀어내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이끄는 소중한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지금까지 '기후는 말한다' 였습니다. 영상편집:박주연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진희 기자 (hydrogen@kb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