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확대 개편부터 가칭 AI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5-04 12:55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과기정통부 확대 개편부터 가칭 AI혁신부 신설론도ⓒ News1 윤주희 디자이너(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인공지능(AI)이 국가 의제로 부상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정부조직 개편 논의에 이목이 집중된다. 통상 새 정부의 과제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밑그림을 그려야 하지만 이번에도 새 정부는 인수위 없이 출범할 예정이기 때문이다.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 출범과 동시에 디지털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편에 들어가야 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4일 업계에 따르면 현 정부 조직에 AI를 넣는 방안과 아예 AI를 앞세우는 부총리급 부처를 만들자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앞서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로 개편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개정안이 통과되면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는 AI 및 과학기술 진흥 정책을 총괄하며, 관계 부처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대신 과기정통부가 맡고 있던 방송 관련 업무는 방송통신위원회로 이관된다. 이와 관련 최민희 의원은 "방송 정책과 AI·과학기술 정책은 성격이 다른 만큼 정부 조직을 효율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처럼 AI에 초점을 맞춰서 과기정통부와 방통위의 방향성을 설정할 것이 아니라, 아예 AI 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기 위한 새 정부 조직으로 'AI디지털혁신부(가칭)'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이성엽 고려대 교수는 지난달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제101회 학술세미나에서 "AI 부분을 정부 조직에 녹여가는 게 중요한 문제"라며 이같이 제안했다.이를 위해 기획재정부의 예산 기능과 총리실이 가진 규제개혁 관련 업무도 함께 가져와야 한다는 주장이다.무엇이 됐든 AI를 중심으로 거버넌스가 바뀌게 되면 2008년 여야 합의제 기구로 출범한 방통위 역시 자연스럽게 수술대에 오를 수 있다.5인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는 장기간 1인 또는 2인 체제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과기정통부 확대 개편부터 가칭 AI혁신부 신설론도ⓒ News1 윤주희 디자이너(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인공지능(AI)이 국가 의제로 부상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정부조직 개편 논의에 이목이 집중된다. 통상 새 정부의 과제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밑그림을 그려야 하지만 이번에도 새 정부는 인수위 없이 출범할 예정이기 때문이다.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 출범과 동시에 디지털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편에 들어가야 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4일 업계에 따르면 현 정부 조직에 AI를 넣는 방안과 아예 AI를 앞세우는 부총리급 부처를 만들자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앞서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로 개편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개정안이 통과되면 과학기술정보통신인공지능부는 AI 및 과학기술 진흥 정책을 총괄하며, 관계 부처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대신 과기정통부가 맡고 있던 방송 관련 업무는 방송통신위원회로 이관된다. 이와 관련 최민희 의원은 "방송 정책과 AI·과학기술 정책은 성격이 다른 만큼 정부 조직을 효율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처럼 AI에 초점을 맞춰서 과기정통부와 방통위의 방향성을 설정할 것이 아니라, 아예 AI 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기 위한 새 정부 조직으로 'AI디지털혁신부(가칭)'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이성엽 고려대 교수는 지난달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제101회 학술세미나에서 "AI 부분을 정부 조직에 녹여가는 게 중요한 문제"라며 이같이 제안했다.이를 위해 기획재정부의 예산 기능과 총리실이 가진 규제개혁 관련 업무도 함께 가져와야 한다는 주장이다.무엇이 됐든 AI를 중심으로 거버넌스가 바뀌게 되면 2008년 여야 합의제 기구로 출범한 방통위 역시 자연스럽게 수술대에 오를 수 있다.5인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는 장기간 1인 또는 2인 체제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법적 분쟁을 겪어왔다.이에 야권에서는 방통위의 회의 의사정족수를 최소 3인으로 하고, 의결 정족수는 출석위원의 과반으로 바꾸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하는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